이클립스 기반 툴을 사용해서 개발을 하게 되었다.
형상관리를 SVN을 사용하게 됬는데 관리 설정을 맡았다.
설치를 하려고 보니 그냥 깔려있네..(개발서버는 페도라.. 누가 yum으로 깔아놨나보다..)
전에 사용할 땐 서버를 윈도우에 VisualSVN을 썼다.
설치야 뭐 어떻게든 하면 되니까 넘어가고
SVN에 접속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인데 하나는 자체 데몬을 돌리는 방법(xinetd에 등록해도 된다.)과 apache 와 연동해서 웹으로 접근하는 방법이다.
윈도에서 VisualSVN를 쓰면 자동으로 아파치에 SVN을 연결한다. 접속도 http://~~~ 로 접속한다.
자체 데몬을 돌리면 svn://~~ 로 접속한다. 이때 쓰는 포트는 3690 이다.
설치가 되었으면 제일 먼저 할일은 Repository 생성
적당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권한을 준다.(755)
svnadmin create --fs-type fsfs /data/svn/data0
이러면 기본형태(없어도 기본)으로 저장소가 생긴다.
저장소는 fsfs(파일시스템)과 bsd(버클리DB)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저장소 안에 conf디렉토리에 가면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다. 설정이래봐야 별거 없지만..
svnserve.conf 를 열어 보면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허용할지 비밀번호는 어떻게 설정할지 인증방법은 어떻게 쓸지에 대한 내용이 있다. 사용자인증은 passwd파일에 등록하면 된다..
저장소를 생성했으니 다음엔 데몬을 띄워야 한다.
svnserve -d -r /data/svn
데몬을 띄웠으면 이제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svn checkout svn://localhost/data0 하면
Revision 0 checkout 이라 뜬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후로 이클립스에서 접속해서 commit/update하면 된다.
저건 수동으로 데몬을 띄우는 내용이고 매번 부팅할때마다 쓰거나 rc.local에 추가한다.
데몬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려면 이곳 에서 확인해보면 된다.
관리를 하다 보면 저장소를 다른쪽으로 이관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때는
백업
svnadmin dump repo_name > repo_name.dump
로드(저장소하나 생성하고나서)
svnadmin load repo_name < repo_name.dump
아 자꾸 까먹는다..
맨날 하는 작업도 아니고 가끔씩 하려다 보면 까먹는다.
한번 정독해야겠다.. http://wiki.kldp.org/wiki.php/Subversion-HOWTO
형상관리를 SVN을 사용하게 됬는데 관리 설정을 맡았다.
설치를 하려고 보니 그냥 깔려있네..(개발서버는 페도라.. 누가 yum으로 깔아놨나보다..)
전에 사용할 땐 서버를 윈도우에 VisualSVN을 썼다.
설치야 뭐 어떻게든 하면 되니까 넘어가고
SVN에 접속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인데 하나는 자체 데몬을 돌리는 방법(xinetd에 등록해도 된다.)과 apache 와 연동해서 웹으로 접근하는 방법이다.
윈도에서 VisualSVN를 쓰면 자동으로 아파치에 SVN을 연결한다. 접속도 http://~~~ 로 접속한다.
자체 데몬을 돌리면 svn://~~ 로 접속한다. 이때 쓰는 포트는 3690 이다.
설치가 되었으면 제일 먼저 할일은 Repository 생성
적당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권한을 준다.(755)
svnadmin create --fs-type fsfs /data/svn/data0
이러면 기본형태(없어도 기본)으로 저장소가 생긴다.
저장소는 fsfs(파일시스템)과 bsd(버클리DB)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저장소 안에 conf디렉토리에 가면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다. 설정이래봐야 별거 없지만..
svnserve.conf 를 열어 보면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허용할지 비밀번호는 어떻게 설정할지 인증방법은 어떻게 쓸지에 대한 내용이 있다. 사용자인증은 passwd파일에 등록하면 된다..
저장소를 생성했으니 다음엔 데몬을 띄워야 한다.
svnserve -d -r /data/svn
데몬을 띄웠으면 이제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svn checkout svn://localhost/data0 하면
Revision 0 checkout 이라 뜬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후로 이클립스에서 접속해서 commit/update하면 된다.
저건 수동으로 데몬을 띄우는 내용이고 매번 부팅할때마다 쓰거나 rc.local에 추가한다.
데몬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려면 이곳 에서 확인해보면 된다.
관리를 하다 보면 저장소를 다른쪽으로 이관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때는
백업
svnadmin dump repo_name > repo_name.dump
로드(저장소하나 생성하고나서)
svnadmin load repo_name < repo_name.dump
아 자꾸 까먹는다..
맨날 하는 작업도 아니고 가끔씩 하려다 보면 까먹는다.
한번 정독해야겠다.. http://wiki.kldp.org/wiki.php/Subversion-HOWTO